[실무도구] 계획과 평가를 돕는 무료 온라인 "로직 모델" 툴, Advocacy Progress Planner(APP)
실무도구 / by 아지 / 작성일 : 2017.04.13 / 수정일 : 2023.04.02








비영리 애드보커시 활동의 계획과 평가를 돕고 이를 공유하고 함께 발전시키는 데 유용한 무료 온라인 "로직 모델" 툴, Advocacy Progress Planner를 소개해드립니다.

이 온라인 툴은 평가혁신센터(Center for Evaluation Innovation)의 줄리아 코프만(Julia Coffman)을 주축으로 한 평가 전문가팀이 개발한 Composite Logic Model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California Endowment가 개발에 투자했으며 휴렛재단(William and Flora Hewlett Foundation)은 툴의 확산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APP는 Aspen Institute의 Advocacy Planning and Evaluation Program(APEP)의 산물이기도 합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이 이 툴의 장점을 설명합니다.

 

 ⊙ 의미있고 측정 가능한 활동: 팀 전체가 활동의 각 요소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툴은 캠페인의 목표, 이해관계자, 전략을 명확히 하도록 도와줍니다. 신중한 계획과 전략적 학습은 동전의 양면입니다.

⊙ 강력한 질문: 이 툴을 따라 가다보면, 어떻게 변화가 일어날 것인가에 대한 가정을 점검하기 위한 강력한 질문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 질문들은 캠페인 전략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또한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도록 돕습니다.

⊙ 계획 공유, 협업 및 개선: 동료, 자금 제공자 및 협력 파트너와 안전하게 계획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함께 일하면서 논리 모델과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과정에서 되돌아보고 배우기: 활동은 우리 예상대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이 툴을 이용해 캠페인이 진행되는 동안 정기적인 검토가 가능합니다. 목표에 맞게 과정을 조정하는 데 배움을 활용하세요



사용자는 이 툴을 통해 로직 모델의 프로세스를 단계적으로 밟아가며, 실현 가능한 성취에 대한 현실적인 예측을 통해 계획을 더 잘 세울 수 있고, 사업 개선을 위한 정보들을 기록하며 더 계획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계획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이 온라인 툴을 실행시키면 목표-> 이해관계자-> 상황-> 활동-> 자원->기준의 "논리 모델" 흐름에 따라 단계적으로 계획을 짜나갈 수 있습니다. 각 단계의 간략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표(Goals): 어떤 변화가 필요합니까?

이해관계자(Audience) : 누가 그것을 만들 수 있습니까?

상황(Context) : 그밖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활동(Activities) : 어떻게 할 것입니까?

자원(Inputs) : 당신은 무엇을 가지고 있습니까? 뭐가 필요합니까?

기준(Benchmarks) :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이 온라인 툴은 각 단계별로 무엇을 계획하고 입력해야 할지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가령 목표 단계에 들어가면 '임팩트(Impacts)'와 '목표(goal)'을 작성하도록 되어 있는데 그 중 '목표' 작성 모드로 들어가면 더 구체적인 세부 옵션을 선택하게 되어 있고 그 옵션에 해당되는 계획을 입력하게 됩니다. 각 옵션의 의미와 팁도 함께 제공해 계획 수립 시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이렇게 작성된 내용은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각 글에 대해 수정 및 댓글 달기가 가능해 온라인 상에서 토론을 벌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작성된 계획을 여러가지 버전으로 보기 쉽게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 단계별 항목들과 그 항목에 해당되는 세부 옵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각 세부 옵션의 정의와 팁은 '목표' 단계만 소개합니다.


1. 목표(Goals): 어떤 변화가 필요합니까?
  

 

 

1) 임팩트

옵션 1. 더 향상된 서비스와 시스템

정의: 보다 높은 질과 접근성, 합리적인 비용, 포괄적이고 협력에 기반한 프로그램과 서비스

팁: 우리의 모든 정책 활동은 정부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하는 서비스와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옵션 2. 긍정적인 사회적, 물리적 조건

정의: 사람, 공동체, 우리가 부분으로 존재하는 더 큰 연결망들을 둘러싼 더 나은 상황과 환경

팁: 여기에는 빈곤 감소, 건강 증진, 대기 질 향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2) 목표

옵션1. 정책 의제의 배치

정의: 정책입안자가 심각하게 고려 중인 이슈 목록에 우리의 이슈나 정책 제안을 배치하기

팁: 구성원과 의사결정권자가 함께 이슈의 중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면 의제에 이슈가 올라가거나 우선 순위에 배치될 확률이 높다.

옵션2. 정책 집행

정의: 자금, 자원, 프로그램 질의 보증과 함께 정책 집행

팁: 정책이 배치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잘 시행되어야 한다. 우리의 목표는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과 잘못된 것을 고치는 것이다.

옵션3. 정책 채택

정의: 조례, 투표 법안, 규정 수정, 법률 또한 법적 합의를 통해 정책 제안을 성공적으로 통과시키기

팁: 정책안은 가장 적절한 시기에 준비되고, 심각하게 고려되고, 아젠다로 올라가고, 정치인들이 잘 조직되어 있다면 정책 채택으로 가는 것이 올바른 목표다.

옵션4. 정책 유지

정의: 정책의 축소나 다른 부정적인 변화를 방지하기

팁: 좋은 정책이 예산 또는 이념, 또는 프로그램상의 이유로 공격을 받는면 목표는 그것을 막는 것이다.

옵션5. 정책 차단

정의: 반대하는 정책 제안을 성공적으로 막기

팁: 한 전직 정책입안자는 "나의 임무는 내 임기 동안 정부가 멍청한 일을 덜하도록 하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아마도 애드보커시 활동가로서 당신의 역할일 것이다.

옵션6: 정책 모니터링과 평가

정의: 정책이 제대로 구현되고 의도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정책 추적하기

팁: 정책이 추진 중이지만 완전히 구현되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목표는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실행하는 것이다

7. 정책 개발

정의: 새 정책 제안 또는 정책 지침 만들기

팁: 핵심 이슈 전문가, 애드보커시 단체, 이익 단체, 잠재적 반대자, 의사 결정권자 및 이슈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 사이에서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단계들을 더 보러 가려면 >>> 링크 클릭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7.04.13 / 수정일 : 2023.04.02 / 조회수 : 2392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