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민중운동, ‘시민사회’, ‘시민운동’ /조희연, 199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이글은 시민담론과 시민운동이 민중담론과 민중운동에 대한 비판 속에서 대안적으로 제기되는 것으로 보며 이러한 상황의 실체를 분석하고 대안적인 실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글입니다. 분석에 따르면 현실사회주의의 붕괴, 80년대 계급투쟁에서의 민중 진영의 패배, 민중담론의 자기폐쇄성이 그러한 변화의 조건으로 제시됩니다. 뿐만 아니라 민주화 이후의 자율적인 정당정치영역/시민사회적 영역의 확장, 계급적 문제영역 이외의 다계급적 문제영역, 소비생활상의 문제영역, 지방수준의 문제영역의 분화를 제시합니다.

필자는 시민담론과 시민운동의 발전의 맥락 속에서 진보운동의 핵심적인 과제는 대중적 영향력을 갖는 진보운동의 확대재생산이라고 제시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저자가 핵심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설립에 기여한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참여연대 설립의 이론적 맥락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참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희연. 1995. 「민중운동, ‘시민사회’, ‘시민운동’」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저자 소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의장, 학술단체협의회 상임대표, 비판사회학회 회장,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소장, 성공회대학교 NGO 대학원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주요 저서로 <계급과 빈곤>,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민주주의 좌파, 철수와 원순을 논하다>, <동원된 근대화> 등이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시민적 담론’이 ‘부상’하게 된 배경들
3. 80년대 민주화과정과 ‘시민사회’의 분화
4. ‘시민사회에의 변혁적 개입’과 ‘진보적 시민운동’
5. 맺음말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2254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