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스완(Green swan)과 금융업계의 ESG
현안과이슈 / by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2.04.04 / 수정일 : 2022.04.05

 블랙스완(검은 백조)백조는 흰색이다!’라는 통념을 깨고 우리 주변에서 나타나는 모든 현상들 속에 블랙스완이 숨어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블랙스완에 이어서 녹색 백조(그린스완)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어쩌면 녹색백조도 우리 주변에 숨어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녹색의 털을 가진 백조가 나타나는 것은 개연성도 부족하고, 일반적인 통념에 너무나 큰 충격을 가져오기 때문에 우리는 흐린 눈으로 이 백조를 바라보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더 이상 녹색 백조를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이 녹색 백조가 어떤 종류의 백조인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녹색 백조는 금융업계들이 ‘ESG’를 외치도록 만들고 있으니까..

 


요즘 ESG가 굉장히 핫한 이슈입니다. ESG는 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의 약어로써 기업의 경영과 투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는 요소입니다금융기업들은 ESG를 경영의 핵심 요소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석탄화력발전 사업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결정을 내리면서 금융업계의 환경 친화적 투자가 본격화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금융업계의 녹색투자는 석탄화력발전 사업 등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들에 투자 자금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서서히 산업 구조의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현상을 무엇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요?
 

포스코가 짓는 석탄화력 회사채 하나도 안 팔렸다, 은행들도 탄소 비상(2022.4.1/뉴스데스크/MBC)

우리는 이 현상을
그린스완(Green swan)’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국제결제은행(BIS)가 발간한 보고서 “The green swan Central banking and financial stability in the age of climate change”는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의 저서 블랙스완의 개념을 바탕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중앙은행과 금융 감독기관(: 금융감독원 등)의 역할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보고서입니다.

 

출처: Patrkc BOLTON et al. The green swan 표지, (2020)



BIS가 그린스완을 블랙스완의 개념과 용어에 기반하여 말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그린스완을 기존의 금융위기와 같은 개념으로 접근하고, 대응법을 마련한다면 더 큰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오히려 그린스완은 새로운 철학적 접근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협업을 위한 노력(five Cs: contribute to coordination to combat climate change)이 요구된다고 말합니다.

 

 

출처: 출처: Patrkc BOLTON et al. The green swan p.3, (2020)

 



왜냐하면 블랙스완은 예측이 불가능하고
, 영향력도 상당히 포괄적이며, 특정 현상이 발생한 후 설명이 가능하지만, 그린스완은 물리적인 변화와 전환으로 인한 리스크들이 장기적으로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스완에 비해서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경고한 것처럼 인류에 대한 위험이 밝혀져 있으며, 기후변화는 블랙스완보다 뚜렷한 체계 혹은 질서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죠. 그리고 이것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BIS는 시나리오 기반 접근법을 통해 기후변화 관련 위험 요소들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요소에는 공공재
(Public goods)와 생물 다양성의 훼손 등과 같은 인간이 초래한 환경파괴의 문제들이 금융과 기후 안정성(Climate st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므로 현재의 사회경제적 및 금융 시스템 지배구조(거버넌스)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출처: 출처: Patrkc BOLTON et al. The green swan p.63, (2020)

 

 




결국
BIS가 발간한 그린스완 보고서는 지금 정부와 기업들이 뉴스와 언론보도, 마케팅을 통해서 강조하는 ESG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죠. 그 중에서 BIS의 그린스완 보고서는 중앙은행의 관점에서 그린스완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왜 은행들이 경영과 투자의 중심에서
ESG를 외치는 현상을 이해하고 싶다면 그린스완 보고서 일독을 권합니다.
- 보고서 다운로드 바로가기(클릭)




작성자 :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2.04.04 / 수정일 : 2022.04.05 / 조회수 : 1095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