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 시대의 국제개발협력 콘텐츠
현안과이슈 / by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4.05.30 / 수정일 : 2024.06.01

 그렇다면 국제개발협력분야도 유튜브에 정착하고 있을까요? 요즘 유튜브는 경제, 사회, 엔터, 역사, 정치 등 다루지 않는 분야를 찾는 게 더 힘드니까요. 그래서 이번 아카이빙은 국제개발협력분야의 유튜브 채널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유튜브 콘텐츠의 내용보다 이런 채널들이 있고, 앞으로 더 재미있게 발전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함께 생각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지난 아카이빙에서 문해력에 대한 글을 쓰면서 이 주제도 꼭 다루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영상입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발행한 2023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접속률은 99.97%입니다. 인터넷 설치가 너무 어려운 산간지대 혹은 도서 지역과 자연인으로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모든 사람이 인터넷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인터넷 이용자는 만 3세 이상의 국민(5,079만 명) 중 약 4,7746,871명입니다. , 당장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신생아와 고령인구를 제외하면 우리나라 인구 5천만 명 중 거의 모든 사람이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죠. 그만큼 인터넷은 우리의 삶에 없어서는 안 되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출처: 2023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요약본)

 

인터넷 사용 빈도도 당연히 증가했습니다. 그중에서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 인터넷의 증가율을 급격히 높이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2023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인포그래픽을 보면, 201991.4%에서 202393.5%로 증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도 똑같은 증가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9년 기준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은 81.2%였습니다. 그 후로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은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393.7%에 달했으며, 평균 이용 시간은 6.9시간으로 증가했습니다. 2008년 유튜브가 한국에 본격적으로 진출 했으며, 2016년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정식 서비스를 개통했었습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한국의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과 평균 이용 시간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죠.


출처: 2023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요약본)

 

관련 기사

한겨레 신문: 유튜브, 한국시장 진출한글 사이트 오픈(2008.1.23.)

나무위키: 넷플릭스/대한민국

*아카이빙은 다양한 출처를 이용합니다(나무위키 포함)

 

그만큼 동영상은 우리 일상생활의 꼭 필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특히 유튜브의 활용 목적도 변하고 있습니다. 과거 유튜브는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플랫폼이었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동영상 시청 목적으로 유튜브를 방문한다는 응답 빈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런데 새로운 현상도 등장합니다. 예전에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서 방문하는 사이트는 구글, 네이버가 주된 소스였습니다. 그런데 유튜브의 등장은 더 이상 정보를 찾기 위해서 구글과 네이버를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합니다. 트렌드모니터의 조사에 따르면, 정보검색 목적으로 유튜브를 방문한다는 비중이 41.8%입니다. 왜냐하면 유튜브를 이용해서 원하는 시간에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으니까요.
 


출처: 트렌드모니터 (
‘유튜브 전성시대’, 동영상 플랫폼을 넘어 현대인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사이트로 자리매김한 ‘유튜브’)
- 출처 바로가기

 

저도 아이를 키우면서 육아에 필요한 정보를 유튜브에서 많이 얻었습니다. 그만큼 유튜브는 더 이상 영상을 시청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아니라 우리에게 유익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성격을 바꾸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도 블로그나 웹페이지와 같은 기존의 플랫폼을 떠나서 유튜브에서 정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국제개발협력분야도 유튜브에 정착하고 있을까요? 요즘 유튜브는 경제, 사회, 엔터, 역사, 정치 등 다루지 않는 분야를 찾는 게 더 힘드니까요. 그래서 이번 아카이빙은 국제개발협력분야의 유튜브 채널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유튜브 콘텐츠의 내용보다 이런 채널들이 있고, 앞으로 더 재미있게 발전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함께 생각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원더스 국제개발 리얼라이브

국제개발 리얼라이브는 개발협력 NGO원더스에서 운영하는 채널입니다. 2018년 팟캐스트를 시작으로 지금은 유튜브까지 영역을 확대했죠. 아직 구독자는 1.13천 명에 불과하지만,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개발협력 업계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상도 있어요. 현직 NGO 활동가부터 국제개발협력 프리랜서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국제개발협력 업계의 다양한 모습의 일자리, 활동가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국제개발 리얼라이브

영상 바로가기: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프리랜서로 활동하기 (국제개발 리얼라이브 12 - 김치앤칩스 오의석 #1)

 

국제개발협력은 업계 관계자들에게는 친숙하지만, 보통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 벽을 허물기 위한 원더스의 노력이 엿보이는 채널이에요. 많은 사람이 방문하고, 다양한 콘텐츠들이 나올 수 있도록 조회수를 올려보면 좋겠네요 :)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유튜브 채널

비록 영상의 수는 적지만, 지역 소재 국제개발협력센터에서 야심 차게 진행한 프로젝트로 보입니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샌드아트로 보여주는 영상은 새롭게 느껴지네요. 가장 최근에 올라온 영상은 5일 전에 업로드된 ...입니다. 아직 영상도 적고, 공적인 목적으로 개설된 채널이지만 많은 관심이 있다면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국제개발컨설팅 KODAC

요즘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컨설팅 기관 KODAC입니다. 가장 최근에 게시된 영상은 1년 전이라서 유튜브 채널이 아주 활성화된 채널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개발협력 취업시장에 대한 이야기, 갑질, RFP의 기본 개념 등 실무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들을 중심으로 영상이 게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KODAC 유튜브 채널 


지금
KODACSTEP-UP 프로그램도 운영하는 기관인 만큼, 앞으로 STEP-UP에 대한 콘텐츠들도 유튜브 채널에 올려준다면 더 유익한 채널로 성장할 것 같습니다!!

국제개발컨설팅 KODAC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ODA Korea Official Channel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채널은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본부의 공식 채널입니다. 국제개발협력, ODA 등에 대한 이야기부터 ODA 우수사례, 개발도상국 공무원 연수 등 다양한 콘텐츠들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 비록 최신 영상은 5개월 전이지만, 올해에 국제개발협력에 관련된 콘텐츠들도 업로드되겠지요. 이 채널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영상은 국무조정실 직원들이 말하는 ODA 영상이 있어요.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을 총괄하는 기관 직원들이 말하는 ODA는 무엇일지 함께 보면 좋겠어요!

출처: ODA Korea Official Channel 
 

KOICA 공식 유튜브 채널

우리나라 무상원조 기관인 KOICA의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 관련 기관들의 유튜브 채널 중에서 가장 활발하게 운영 중입니다. KOICA에서 수행하는 여러 사업부터 업계인들 아니면 알기 어려운 개념들을 쉽게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KOICA는 봉사활동만 하는 조직으로 이해하는 분들을 위해서 KOICA가 진짜로 어떤 일을 하는지 보여주는 영상이 52만 회 조회수를 보여주는 만큼 KOICA에 대한 진짜 모습을 알고 싶은 수요를 충족시켜 준 것 같아요.
 


출처: KOICA? 무슨 일하는 곳이야? 영상 바로가기

유튜브 채널에서 국제개발협력을 키워드로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들을 검색했는데, 현재 운영 중인 채널들은 아주 적어요. 게다가 최신 영상들도 거의 업로드되는 것들이 없어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콘텐츠가 매우 제한적이죠. 내용들도 대부분 정책, 업계 관계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아쉬운 부분이지만, 앞으로 국제개발협력 관련 영상 콘텐츠가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궁금해할 수 있는 국제개발협력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유튜브에서 ODA 관련 키워드의 영상이 높은 조회수를 보여주는 날이 오기를 기다려 봅니다.



 


작성자 :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4.05.30 / 수정일 : 2024.06.01 / 조회수 : 21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