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오버투어리즘 1_너 어디서 왔니?
현안과이슈 / by 이지 / 작성일 : 2018.08.27 / 수정일 : 2023.03.28

오버투어리즘, 젠트리피케이션은 우리나라에서도 더이상 낯선 문제가 아닙니다. 오버투어리즘과 관련한 해외사례와 자료를 소개합니다. 
어느 지역이 활성화되면 관광객이 몰려들고, 이로 인해 주거환경이 나빠지고 임대료가 오르는 등의 문제는 마을 활동을 하는 분들에게는 현재도 일어나고 있는 실제적인 고민일텐데요, 여러 해외 사례들을 통해 우리의 해결책을 찾는데도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오버투어리즘'이라는 용어와 탄생하게 된 배경을 먼저 소개하고, 다음 글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해결책 등 연구자료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버투어리즘 

 

‘ICELAND AND THE TRIALS OF 21ST CENTURY TOURISM’ - Skift 
-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이라는 단어가 탄생된  ▷내용보기
20년간 국제 관광이 발달함에 따라 세계주요 관광지에 여행인구가 많이 늘어나 사회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것을 관리하지않으면 독이될 뿐더러 지역민에게 끼치는 영향도 무시할 없다. 주요산업이 어업에서 중공업, 중공업에서 관광업으로 변화된 아이슬란드의 사례로 민주화된 국제관광 (democratization of global travel) 세계에 어떤 변화를 주는 알아본다.  

‘The Genesis of Overtourism’ - Skift ▷내용보기
여행저널플랫폼 Skift 오버투어리즘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계기와 아이슬란드에 집중을 해서 글을 쓰게 되었는지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아본다. 

관련 뉴스 Dear dictionaries, this is why ‘over tourism’ should be your 2018 word of the year. The telegraph​ - 20 APRIL 2018 ▷기사보기

 

 

디즈니제이션, 혹은 디즈니피케이션


논문 :  ‘Christian contradictions and the world revolution’ (1991 ) p152
- ‘디즈니제이션’(Disneyisation)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된 곳 ▷내용보기 
152p. 미디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람들에게 노출된 가짜 문화는 사람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심각하게 방해해 자유로운 행동도 못하게 했다. 이런 현상을 뉴욕대 Peter K. Fallen 교수가 명명하길, 디즈니화 사회(Desneyisation of Society)라고 한다. 
관련뉴스 : 디즈니피케이션(disneyfication), 한국경제 - 2018년 05월 18일 ▷기사보기


 
 

투어리스티피케이션

논문 : ‘THE TERRITORIALITY PARADIGM IN CULTURAL TOURISM’ 2009 ▷내용보기 
전통적인 지리학자들은 특히 투어리즘을 공간의 흐름, 장소의 이용, 사람과 장소와 상품간 지역적 밀착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지역화 양상에 투어리즘이 흥미를 가지면서 마치 한쪽은 국제화에 답으로, 한쪽은 특이하고 이국적이며 지역특색이 있는 경험의 연구로 새롭게 바뀌었다. 최근 투어리즘 연구는 패턴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에서 투어리즘이 소개한 변화의 과정을 분석하는 것으로 초점이 맞춰졌다. 전통적인 문화 공간에서 관광의 공간으로 변화하는 힘을 이해하는것은 미래의 계획을 위해 중요한 요건이며, 지역과 장소를 관리하기 위한 책임이다. 몇개의 지역관광에 대한 미래의 연구 화두가 포함되어있다. (머릿말 중)


관련뉴스 : 관광 도시의 이면, 투어리스티피케이션 ①  도시미래신문 - 2017년 06월 08일 ▷기사보기






 


작성자 : 이지 / 작성일 : 2018.08.27 / 수정일 : 2023.03.28 / 조회수 : 1860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