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활동가 소개 ⑧] 뉴욕 뉴저지 세월호를 잊지 않는 사람들의 모임, 김수진 활동가
활동사례 / by 박준영 / 작성일 : 2018.12.13 / 수정일 : 2023.03.30

전세계에는 700만 재외동포 한인들이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국내외 현안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개인 활동가 또는 활동 단체가 있습니다. 활동 주제, 사는 지역에 따라 활동 방식은 다양합니다. 이들의 활동 내용을 <서울시NPO지원센터>정보 아카이브에서 나누려 합니다. 재외동포 한인 활동가들의 활동 내용이 국내에 알려지고, 또 가능하다면 관련 단체들과 연대하는 새로운 기회의 장이 마련되길 희망합니다. ​​​ ​



미국의 뉴욕은 교육
, 문화, 경제의 중심지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도시입니다. 세계 최대의 도시인 만큼 뉴욕과 인근의 뉴저지 주에는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이곳에 2014 5월부터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활동한 뉴욕 뉴저지 세월호를 잊지 않는 사람들의 모임 (뉴욕 뉴저지 세사모)’이 있습니다. 뉴욕 뉴저지 세사모의 김수진 대표를 인터뷰했습니다

인터뷰 : 뉴욕 뉴저지, 김수진활동가 


먼저 김수진 대표에게 처음 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에 대해 물었습니다
. 세월호 참사 이전에는 외국에서 오래 생활하다 보니, 국내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자연스레 무감각해졌습니다. 그러다 2014 4 16일 세월호 침몰 소식을 뉴스 생중계로 보게 됩니다. 너무나 충격적이었습니다. 승객을 가득 태운 배가 서서히 가라앉고 있는데, 아무도 구하지 못했습니다일상 생활을 하던 중에 세월호가 침몰하는 장면이 계속 떠올랐습니다. 세월호 참사 직후 많은 이들이 겪은 세월호 트라우마와 같은 현상이었습니다. 그렇게 며칠을 보냈습니다. 그러던 중 미주 한인 여성 온라인 커뮤니티인 미씨 유에스에이 (Missy USA)에서 세월호 참사 희생자 추모 미주 전역 동시 집회 공지를 봤습니다. 이미 뉴욕 뉴저지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뉴욕 뉴저지 지역 집회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김수진 대표도 준비 모임에 자원해 2014 5월 둘째 주에 열린 첫 집회를 함께 준비했습니다. 김수진 대표를 포함하여 집회를 준비하는 이들 중 대부분이 집회를 준비하거나 집회에 참여해본 적도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매일같이 모여 집회에 사용할 피켓과 유인물을 만들고, 토론했습니다. 10명의 집회 준비 모임이 정성들여 준비한 첫 집회에는 약 300명이 넘는 한인들이 모였습니다.

 

3주에 걸쳐 총 세 차례 세월호 참사 희생자 추모 집회를 열었습니다. 세차례 집회에 모인 뉴욕 뉴저지 한인들은 세월호 참사의 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매달 한번씩 모여 집회를 갖자는 다짐을 했습니다. 김수진 대표는 이 월례집회가 이토록 오래갈지 예상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여전히 세월호 참사의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고, 뉴욕 뉴저지 세사모는 4년 반동안 그들의 다짐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뉴욕 뉴저지 세사모는 4년 반의 활동 기간 동안 다른 주제의 활동에 연대해왔지만, 뉴욕 뉴저지 세사모의 활동 주제로 삼진 않았습니다.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으로 시작하여 활동 주제를 확대해 온 다른 지역의 활동 단체들과는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김수진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뉴욕 뉴저지 세사모에서도 활동 주제 확장에 대한 여러 차례 토론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밝혀 만들 안전하고 정의로운 사회가 우리가 확장하고자 하는 다양한 활동 주제가 바꾸려는 우리 사회의 모습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세월호 진상규명이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믿음으로 4년 반동안 매달 집회를 열며 많은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김수진 대표는 집회를 할 때 응원과 지지의 인사를 건내는 한인들을 자주 만난다고 합니다. 어떤 이들은 음료수를 사다주거나, 추위에 집회를 하는 뉴욕 뉴저지 세사모 활동가들에게 쉬어 가라며 식당 문을 열어주기도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진 않더라도 마음으로 함께 해주는 시민들이 많다는 생각이 들어 큰 힘을 얻는다고 했습니다.

 

뉴욕 뉴저지 세사모에 세차례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들이 방문했습니다. 2015, 2016, 2018년 세 차례 방문 모두 뉴욕, 뉴저지 지역의 많은 시민들이 세월호 가족들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많이 모였습니다. 2015 3월 처음으로 세월호 유가족들이 뉴욕 뉴저지에 방문했을 때 뉴욕 뉴저지 세사모 구성원들은 가족들에게 무엇으로 힘이 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뉴욕 뉴저지를 방문한 가족들로부터 더 큰 위로와 용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앞으로의 계획을 묻는 질문에 김수진 대표는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이외에 다른 것을 생각해보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함께 활동하는 이들과 매달 집회를 이어가길 바란다고 했습니다. 김수진 대표는 또한,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는 국내외 시민들이 세월호 참사의 모든 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용기 잃지 않고 끝까지 함께하자는 연대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작성자 : 박준영 / 작성일 : 2018.12.13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1585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