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의 힘 대만 편 ①] 열린 문화 재단
활동사례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3.01.05 / 수정일 : 2023.01.06
▶ 비영리·공익활동을 지원하는 14개 국가 31개 지원조직을 소개한 2022년 NPO 트렌드 리포트 <지원의 힘중 발췌하여 소개합니다.

※ 2022 NPO 트렌드 리포트 <지원의 힘> pdf-book 다운 받기 (클릭)
※ (인쇄본)은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 로비에서 자율 배포하고 있습니다.




Open Culture Foundation
[열린 문화 재단]
#오픈소스 #오픈데이터 #열린정부

보다 투명하고 포용적인 디지털 시민 사회를 지원하는 행동주의


▶ 이 특징에 주목하세요.

· 오픈 소스, 오픈 데이터, 열린 정부를 키워드로 시민 활동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조직임. OCF는 개방형 기술(open tech) 기반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오픈 소스 및 오픈 데이터 생산과 공유에 관한 철학과 원칙을 수립하고, 대만 사회에서 다양한 어젠다를 가지고 활동하는 개방형 기술 커뮤니티를 육성·지원하며 크고 작은 이벤트와 포럼을 통해 오픈 컬쳐(Open Culture) 확산을 꾀하고 있음. 이들은 초당적으로 협력하며 국경을 넘나드는 협업을 통해 열린 정부를 만들기 위한 정책 생산 및 옹호 활동에 앞장서며 오픈 컬쳐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중임.

▶ 설립 목적

○ 지역 사회와 글로벌 개방형 기술 커뮤니티 사이의 중간 조직 역할

· OCF는 오픈 컬쳐가 사회 혁신의 토대이자 참여 민주주의의 엔진이란 믿음에서 출발하여, 대만 사회의 개방형 기술 커뮤니티의 재정 후원자 역할을 하기 위해 2014년 설립된 비영리 조직임.

 ○ 오픈 컬쳐(Open Culture)란?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참여적인 문화로, 공개와 공유 가능한 소스 코드를 장려함으로써 누구나 수정 가능하고, 누구나 기술 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기술 개선을 위해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는 흐름을 만드는 것이 열린 문화의 방식
 
  개방성을 통해 지식과 기술이 소수의 민간 기업과 기술 전문가에 의해 독점되지 않게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 개방성이야말로 모두의 빠른 성장과 지속가능한 기록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런 종류의 개방된 문화가 디지털 시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고 OCF는 계획을 수립하거나 행동을 결정할 때 다음의 원칙을 기준으로 함. 

 ○ 열린 문화 원칙

  - 대략적인 합의에 도달하는 즉시 오류를 비판하지 않고 시도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 피드백이 필요할 때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 작업 프로세스 중에 개발된 모든 초안 또는 모델 프로토타입은 초기에 자주 공개되어야 합니다. 
  - 개인 정보 보호의 문제가 없고 작업을 위한 충분한 인력이 있는 한 모든 정보는 공개되어야 합니다.
  - 모든 프로젝트의 결과를 공개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얻은 모든 경험과 지식도 외부 세계와 공유해야 합니다.
  - 오픈 소스 기술과 서비스를 합리적 수단으로 사용하고 기업 소프트웨어에 의한 독점을 피하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 우리는 우리가 지원하는 커뮤니티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보호합니다.


· OCF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가 주최한 컨퍼런스를 계기로 다수의 대만 오픈 소스 커뮤니티가 재원을 마련하고 공동법인을 설립하게 되면서 2014년부터 비영리 조직으로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음.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오픈 하드웨어·오픈 데이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부문에서 개방형 기술의 사용을 촉진하기위해 지역 사회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함. 이는 정부, 기업 및 시민사회가 오픈 소스 기술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공공영역에 공개 데이터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며 지역 사회에서 오픈 소스 관련한 대규모 회의, 세미나, 해커톤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함. OCF는 글로벌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 단단한 네트워크를 만들고 있으며, 전 세계 시민 기술(civic tech) 그룹과 정기적으로 경험을 교류하는 등 지역 사회와 글로벌 개방형 기술 커뮤니티 사이의 중간 조직 역할을 자임하고 있음.

· 개방형 기술에는 3가지 차원이 포함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개발, 재배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 누구나 유사하게 자유롭게 사용, 재사용 및 재배포할 수 있는 공개 데이터 
- 투명하고 참여적이고 포용적이며 책임 있는 거버넌스를 촉진하는 열린 정부

▶ 활동영역과 주요 활동

○ 5가지 주요 영역

열린 문화 재단의 5가지 주요 영역 [출처 : https://ocf.tw]

· 오픈 소스(Open Source) :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참여적인 오픈 소스 기술 운영을 통해 누구나 기술을 사용하고 문명의 발전과 기술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음.

· 오픈 데이터(Open Data) : 오픈 소스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공공과 민간 분야에서 직・간접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개방형 데이터 구현,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지식 공유 및 공공 정보 확대에 기여함.

· 열린 정부(Open Government) :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방식을 통해 디지털 거버넌스를 촉진하고 시민 참여를 위한 새로운 잠재력 창출 지원

· 인터넷 자유(Internet Freedom) : 인터넷의 보편성(분열이 아닌), 표현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보장, 인터넷의 개방적 토대 마련을 통한 공공의 이익과 사적 이익 사이의 균형 찾기

· 디지털 권리(Digital Rights) : 온라인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는 시민의 인권(사생활의 권리 등)과 디지털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권리(인터넷 접속권 등)의 보호 

○ 주요 활동

· 크게 자체 프로젝트 추진과 커뮤니티 지원 활동으로 나뉨. 2022년 기준으로 진행 중인 자체 프로젝트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조직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 제공과 컨설팅 지원, 투명한 디지털 ID 도입을 위한 입법 활동, 대만의 오픈 소스 커뮤니티들의 열린 문화 관련 국제회의 참가 지원,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과 협력 지원 등이 있음.  

· 커뮤니티 지원 : 개방형 기술 관련 커뮤니티를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커뮤니티의 성장을 위한 컨설팅 제공 및 공동 활동 계획 수립 지원(2021년에는 7개의 온라인 이벤트, 30개의 커뮤니티 프로젝트 계속 지원)

· 인재 양성 : 개방형 기술 및 디지털 인권 관련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인재를 모으고 육성하기 위한 장학 프로그램 운영, 교육 채널 및 플랫폼 제공

· 지식 교환(Knowledge Exchange)
  - 지식 공유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채널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시민들과 지속적으로 지식을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교환
  - 열린 기술, 디지털 인권, 인터넷 자유의 개념과 사용을 촉진하는 온・오프라인 이벤트 참여 및 개최

· 모니터링과 애드보커시
  - 정부 기관, 시민사회단체와 협력하여 시민사회의 기술 활용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확보를 통해 관련 법률과 지침의 기준 마련
  - 정책 모니터링 및 애드보커시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모으기
  - 오픈 데이터 생태계 구축 및 eID(디지털 ID) 입법 개혁을 위한 정책 제안 활동

· 국제 협력 - 국제 행사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디지털 시민사회 구축을 위한 다자간 협력 추진

· 오픈 소스 프로모션- 디지털 생활과 일, 작업 등 모든 영역에서 오픈 소스 코드 및 도구 사용 촉진- 재단은 가능한 한 오픈 소스 도구를 사용하여 활동하며, 재단에서 생산한 모든 지식을 공개함(CC 라이선스 사용) 

○ 활동 사례

· ‘열린 정부를 위한 국가 실행 계획’ 발표와 이행 협력 : 2020년 오픈 거버넌스 파트너쉽(OGP OGP(Open Government Partnership) : 2011년 미국, 영국, 브라질 등 8개국이 공동으로 열린 정부 파트너십(Open Government Partnership, OGP)을 구성하여 전 세계 정부에 대한 시민 참여, 투명성 및 개방 정신을 촉구. 2년마다 실행 계획을 제출하며, 현재 77개 국가와 106개 지방 정부와 수천 개의 시민 사회 단체가 포함되어 활동 중.

) 국제표준에 따라 대만 정부는 첫 열린 정부 국가 행동 방안을 발표하였음. 국제정세로 인해 대만은 OGP 비회원국이지만, 열린 정부를 촉구하는 시민사회의 노력으로 정부, 입법원,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OGP 프레임워크에 대만 최초의 ‘열린 정부’ 및 ‘열린 의회’ 실행계획이 발표되었음. 이후 각 부처는 공약 이행에 나섰고, 2021년 시행과정에서 민관협력을 통한 방법을 모색하며 OCF와 협력하였음. 관련 활동으로는 20201 열린 정부 역량 강화 워크숍, 2021 열린정부시민포럼, 2021년 열린 정부 국제 웨비나(Open Government  International Virtual Forum), 입법원, 의회 행동 계획 개시 등이 있음.

· OCF Lab : OCF에서 운영하는 정보 플랫폼으로 2019년 7월 설립. 디지털 시민 기술 및 오픈 소스 관련 데이터 수집, 뉴스 번역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해왔음. 디지털 인권, 인터넷 자유, 데이터 프라이버시, 검열 모니터링, 시민 기술, 오픈 소스 코드, 오픈 데이터 관련 기사를 생산해 왔으며 현재까지 82개의 디지털 시민 주간 보고서와 158개의 중국어와 영어 버전의 기사 및 칼럼을 발표. 그러나 2022년 4월 30일 공식적인 활동을 종료했음. 편집 및 취재 역량 부족 등을 이유로 활동을 종료하였으며 이후 OCF 재단 사업으로 전환하여 인재양성, 이니셔티브 조직, 조직간 협력을 통해 개방형 기술을 홍보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힘.

▶ 운영 주체

· 재단은 13명의 스태프와 6명의 실습파트너, 5명의 이사, 4명의 고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원활동가들의 큰 도움으로 운영된다고 소개되어 있음.

▶ 지원방식

· 30개 이상의 오픈 소스 관련 프로젝트 시행과 커뮤니티에 대한 재무 관리, 컨설팅 등 조직운영 지원과 활동 지원

▶ 재정(예산)

· 2021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재원의 출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뉨. 하나는 OCF 재단 프로젝트 수입이고 두 번째는 커뮤니티 프로젝트 수입이며, 내역은 프로젝트를 통한 수입과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위한 펀딩, 정기·고정 기부 및 상품 판매임.

· 2021년 재단의 프로젝트 연간 총수입 및 지출은 소득 NT$ 19,145,153(약 8억 6천만원), 지출 NT$ 16,148,451(약 7억 2천만원)이고, 커뮤니티 프로젝트의 연간 총수입 및 지출은 소득 NT$ 21,051,847(약 9억 4천만원)), 지출 NT$ 12,711,705(약 5억 7천만원) 으로 재무 보고서에 공개되어 있음.

▶ 협력 방식과 대상 

· 여러 개방형 기술 커뮤니티, 개인 및 조직과 협업함. 협력 파트너로는 대만의 시빅 해커 조직 g0v(거브제로)를 비롯하여, OSI(Open Source Initiative), 리눅스 재단 등 열린 문화 생태계 조성을 위해 활동하는 다양한 기업, 조직과 협력함. 


 협력파트너 소개 [출처 : https://ocf.tw]


▶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기관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3.01.05 / 수정일 : 2023.01.06 / 조회수 : 353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