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캠페인 '누구나 누리는 즐거운 공동육아를 위해' 공동육아방과후 제도화와 지원을 위한 국민 청원
by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 2020-07-22 18:05



< 돌봄 사각지대를 지켜온 공동육아 초등방과후 > 

1999, 부모와 교사들은 초등아이들이 학교가 끝난 후 학원을 전전하거나 방치되지 않고 놀이와 관계와 공동체 속에서 자라도록 하고자 공동육아방과후를 만들었고, 현재 전국 곳곳 공동육아방과후는 아이들의 쉼터, 놀이터이며, 학교와 학원에서 배우지 못하는 것들을 삶의 과정 속에서 배우는 배움터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는 온종일돌봄체계를 구축하겠다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지자체 단위로 다함께돌봄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도 초등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그 어느 지자체보다도 빠른 속도로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설치 중에 있고 2019년 말 기준, 103개가 설치 확정되었습니다.

하지만 국가가 초등돌봄정책을 시행하기 전부터, 부모와 교사들이 함께 협동조합을 만들어 투명하게, 민주적으로 운영하며 초등 아이들을 돌봐온 공동육아방과후협동조합들은 고민이 깊어집니다.  교사들을 모두 해고하고 문을 닫고 흩어져 우리동네키움센터와 다함께돌봄센터에 아이를 보내는 것이 답일까요?

민간에서 초등 돌봄을 담당하는 (사회적 협동)조합형 공동육아방과후가 법으로 인정받고 제도로 지원받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

공동육아방과후는 20년 동안 민간에서 돌봄 영역을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그 결과, 
공동육아 방과후는 아이들에게는 쉼터, 놀이터, 배움터로써
함께 하는 교사들에게는 자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써 
민주적이고 투명한 협동조합 운영으로 돌봄 영역에서 비리와 불법이 없도록 
마을 나아가 지역사회와 교류하며 마을에서 생활과 배움이 이루어지도록 활동해왔습니다. 

서울시 초등학생 42만 명(2018년 통계), 그 중 맞벌이가정 아동은 48%입니다. 이들에 대한 공적 돌봄은 초등학교 돌봄교실과 지역아동센터를 모두 포함해 12.8%에 불과합니다.(출처:서울시 온마을돌봄 토론회 자료집) 서울시의 계획대로 2022년까지 400개의 우리동네키움센터가 설치되어도 맞벌이 가구의 초등학생 모두가 돌봄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정부와 지자체 중심의 관 주도 획일화된 모델을 넘어 민관 협력을 통한 다양한 돌봄 모델을 확보해야 대한민국 돌봄 정책에 전망이 있습니다. 
공적 돌봄만으로 모든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면 건강한 민간 부문과 잘 협력하는 것은 정책 완수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법 제정을 위해 >

민간에서 초등 돌봄을 담당하는 (사회적 협동)조합형 공동육아방과후가 법으로 인정받고 제도로 지원받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를 통해 의미 있는 초등 돌봄 모델이 발굴되고, 법적 보호와 제도적 지원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공동육아방과후 제도화와 지원을 위한 국민 청원에 함께해주세요. 
링크 :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QRrJYH




작성자 :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작성일 : 2020-07-22 18:05, 조회수 : 384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