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힝야,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_로힝야 학살 1주기 보고서;조진섭
by NPO지원센터 / 2019.10.02
로힝야 학살 1주기 보고서 - 조진섭

2018. 8. 24 - 2018. 9. 8
(평일 오전 10시~5시)
서울시NPO지원센터 1층 품다

<로힝야 학살 1주기 행사
일시 : 2018년 8월 24일(금) 늦은 6시
장소 : 서울시NPO지원센터 1층 <품다>



나는 그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을 찍었다. 

'왜'라는 질문을 던져 본다. 왜 인간은 다름이 아닌 틀림을 이야기하며, 왜 인간은 다른 인간을 죽이는가. 의문은 풀리지 않는다. 인간 본성의 문제인지 인간을 보듬어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종교의 문제인지, 이제는 혼란스럽다. 
프랑스 칼레(Calais)에는 1990년대 발칸 전쟁으로 만들어진 난민촌이 있다. 당시 이곳에서 삶을 이어가던 이들은 대부분 동구권 난민들이었다. 그 후 발칸반도가 조금씩 안정을 되찾아 가자 난민촌에 아프리카 흑인 난민들이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5년을 기점으로 아랍 난민 사태가 벌어지자, 아랍 난민들 역시 이 난민촌에 자리를 잡았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흘러들어 오는 난민을 홍수에 비유하고 그들이 섞여 사는 곳을 정글이라 부른다.
두 번의 세계대전을 겪으며 일어났던 일들은 그 후 이어진 가시적이거나 비가시적인,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인 분쟁과 전쟁 속에서 지금도 그대로 반복되고 있다. 변한 것이라곤 무기의 발전으로 대량학살이 손쉬워졌다는 것 뿐이다. 파괴와 폭발의 연장 속에서 부숴지기 쉬운 인간의 몸뚱이는 여전히 난민이란 이름으로 여기저기에 흩어진다. 우린 그렇게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그리고 저항과 민주주의의 상징인 아웅산 수치의 나라, 미얀마에서 로힝야 사태가 벌어졌다. 군부 독재의 폭압을 견디며 공포로부터의 자유를 외쳤던 그녀는 미얀마에 민주주의의 바람을 몰고 왔지만 소수 민족을 향한 폭압은 더욱 심해졌고 인종 학살마저 자행됐다. 그녀는 역설적으로 야만의 시대가 여전히 저물지 않았음을 알렸다.
나는 그들을 찍었다. 미얀마의 폭압을 피해 국경을 넘을 수밖에 없었던 그들을 찍었다. 그들은 로힝야다. 태어난 고국에서조차 환영받지 못한 그들은 이제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 되었다.

조진섭
조진섭은 프랑스 파리 사진학교 이카르 포토 졸업했고 프리랜서 포토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프랑스 칼레의 아프리카 난민, 발칸반도의 아랍 난민, 독일 정착 시리아 난민,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로힝야등을 취재했다.

 


작성자 : NPO지원센터, 작성일 : 2019.10.02, 조회수 : 101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