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로고

사업소식

  • 상시
  • 사업후기

(교육 후기) 공익활동의 사회적 가치측정 1회차 교육 후기

작성자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모집기간 - 등록일 2025-04-14 조회수 224

공익활동의 사회적 가치측정 1회차 교육 후기

오종관((사)환경정의 활동가)

공익활동가라면 항상 ‘좋은 일을 하네요!’라는 이야기를 듣곤 합니다. 스스로 내가 하는 일이 세상을 바꾸는 꼭 필요하고 좋은 일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활동을 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내가 하는 일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아닌 누구에게 어떤 임팩트로 다가가고 있고, 이 활동의 가치를 ‘좋은 일’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했습니다. 이런 고민이 있던 차에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에서 ‘공익활동의 사회적 가치측정’이라는 교육을 진행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서둘러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첫 시작은 임팩트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우리 주변의 사회문제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방법부터 시작하였는데 ①동시대의 특정 사회에 속하는 ②구성원이 지대한 영향을 받으며 ③구조적인 이유로 인해 ④고통받고 있는 상태를 사회문제로 정의한다는 강의를 듣고 지금까지 경험적으로만 발견했던 사회문제에 대해 좀 더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후 활동은 이해관계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강사님의 예시가 있어 이해관계자의 설정과 이해관계자에게 어떤 이익과 해악을 줄 수 있을지 설명을 들으며 직접 우리 조직, 내가 하고 있는 활동의 이해관계자를 찾는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활동의 핵심적, 직접적, 간접적 이해관계자들에 대해 고민해 보고 활동 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을지 고민해 보았습니다.

그간 활동을 기획하면서 활동 대상에 대해서는 생각해 봤지만, 관여 정도에 따라 나눠보지는 않았기 때문에, 각 층위를 설정하는 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이해관계자들을 나눠보는 과정이 익숙해지면 활동 대상을 설정하는데 좀 더 폭넓고 다양한 대상을 만들어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후 임팩트 측정이 필요한 이유와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많은 계획서와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성과 목표와 지표를 묻는 과정이 꼭 들어갑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숫자’로 표시되지 않는 임팩트에 대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기록하고 이것을 측정하여 보여줄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비교해야 하는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여러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어 앞으로 활동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지 힌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활동 후 의무적으로 해왔던 만족도 조사에 대한 중요성도 다시 인식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활동가가 공익활동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한 공익활동이 만들어낸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가시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좋은 활동이어도 이것들 잘 포장하여 보여주지 않으면 활동의 가치가 폄하될 수 있고 필요성을 이해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남은 강의에서는 사회적 가치측정 방법에 대해 배우고 직접 가치를 측정해 보는 실습이 있어 강의가 매우 기다려집니다. 어떻게 내 활동을 임팩트있게 보여줄 수 있을지 앞으로 남은 강의도 열심히 참가하여 많은 것들을 배워가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강의를 기획해 주신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와 강사님에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