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올해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 베트남 전쟁(제2인도차이나전쟁) 종전 4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하지만 아직 국민들의 마음속 전쟁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여전히 일본 대사관 앞에서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며 평화시위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반면 일본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도 않는데, 일본인 중 57%가 전후 피해국에 대한 일본정부의 배상은 충분했다고 응답한 결과는 이러한 역사교육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베트남 전쟁도 이와 비슷한 모습입니다. 우리나라는 베트남 전쟁을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성장을 견인한 ‘베트남 특수’라는 용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4월 초 한국에 최초로 방문한 베트남 한국군 민간인 학살 피해자들은 우리가 역사시간에 배운 적이 없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편 베트남 참전 군인의 일부는 이런 기록이 조작이라며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두 전쟁이 다르고 그 안에서 한국인의 역할도 달랐지만, 우리가 일본과의 역사적 갈등으로 인한 물질적, 정신적 피해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고, 그 기억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우리 군인들이 베트남 전쟁에서 어떤 맥락에서건 민간인들에게 입힌 피해에 대한 책임을 방관하는 자세는 변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목표
저희는 다양한 국적과 그에 따른 역사 교육을 받은 팀원들의 토의, 각국의 역사 교과서 비교분석, 그리고 역사적 갈등의 해소 사례에 대한 논문 탐독을 통해서 동아시아의 역사를 입체적인 측면에서 다각도로 바라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역사의 틀이 절대적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서로의 의견을 경청할 때, 비로소 각국의 역사 인식이 구성된 맥락을 이해하게 되면서 다면적인 역사인식을 토대로 한 진정한 의미의 평화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계획
- 기획 전반
4월: 프로젝트 기획 공유
5월: 문헌 리뷰, 미국, 베트남, 일본, 한국 역사 교과서 비교 분석
6월: 답사 준비
7월: 베트남 현지에서 베트남의 근현대사 인식 조사와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기억 인터뷰, 자료 정리
8월: 일본 탐방(후쿠오카에서 조선인 강제징용자들의 기억을 담아오고, 히로시마에 가서는 전쟁으로 인한 일본의 아픔을 담아오고자 합니다.) 영상 제작, 교육 자재 편집
9월~10월 : 유네스코 초중고등 학교 방문해서 역사의 다면성 교육
한국, 베트남, 일본 학생을 대상으로 다각적 역사인식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