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서적, 논문, 자료집, 기사 스터디
<참고 문헌 목록>
DW깁슨, 2016, 뜨는 동네의 딜레마 젠트리피케이션, 눌와
편집부, 2015, 공공 도큐멘트2 (누가 우리의 이웃을 만드는가?), 미디어버스
젠트리피케이션 문제의 사회적 해결을 위한 포럼 자료집
2014 홍대앞 문화예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과제 자료집
스트리트h 잡지
2) 서울시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탐구와 논의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와 한국형 젠트리피케이션의 양상
: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사용한 '젠트리피케이션' 이라는 용어의 정의를 검토하고 발생 원인과 영향을 살펴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서울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어떠한 양상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서울시에서 젠트리피케이션
지구로 선정된 북촌, 서촌, 신촌/홍대/합정, 성미산 마을, 인사동, 대학로, 세운상가, 성수동, 해방촌을 중심으로
조사합니다.
-홍대앞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과정
: 서울 중 홍대 지구의 젠트리피케이션을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10년을 주기로 홍대앞 지역이
변화해온 과정을 개괄합니다. 클럽데이, 카우치사태, 두리반 사태 등 홍대앞 문화에 영향을 주었던,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주요 사건들을 확인합니다.
-2016, 현재 홍대앞 젠트리피케이션 실태
: 스트리트 h의 인터뷰 기사들, 최근 홍대앞에서 사라지고 있는 라이브 클럽들에 대한 신문 기사 등 근래의 기사들을
검토하여 현재 홍대앞 상황에 대해 이해합니다. 사라지고 있는 작업실, 스튜디오, 갤러리, 상점, 라이브 클럽 등의 실제 사례
를 찾아봅니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대책
: 올해 서울시가 제시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을 확인합니다. 또한, 예술가들과 상인들이 시민들의 차원에서
시작한 다양한 움직임을 조사합니다. 예를 들어, 홍우주(홍대앞에서 시작해서 우주로 뻗어나갈 문화예술 사회적 협동조합),
맘상모(맘편히 장사하고픈 상인들의 모임) 등을 확인합니다. 나아가, 홍대앞 공간을 향유하는 시민으로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항하여 할 수 있는 일에 대하여 논의합니다.
3) 홍대를 중심으로 한 서울시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콘텐츠 제작
스터디 내용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작성하고 서울시민이 서울시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자료집을 제작합니다.